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스타사진다운로드
- 인프라기초 #인프라 #웹개발기초 #인프라구성관리 #infra
- 인프라기초 #웹개발기초 #인프라 #가상화 #infra
- 인프라기초 #인프라 #웹개발기초 #infra #미들웨어
- 인프라기초 #infra #인프라 #웹개발기초
- #시작
- 저작권프리 #무료이미지편집
- #fansly #onlyfans #patreon #크리에이터플랫폼 #팬슬리 #오니팬스 #온니팬스 #패트리온
- 인스타퍼오기
- 4K_Stogram
- 유튜브밴스드 #유튜브프리미엄크랙 #유튭크랙
- 인프라기초 #인프라 #infra #웹개발기초
- #링크복사
- 4KStogram
- 인스타그램사진다운로드
- Today
- Total
목록웹기획 . (19)
웹기획자의 생각정리함

이번게시물에서는 오픈데이터 포럼을 20 가지 골라 드리겠습니다. 당신의 데이터 분석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공공데이터 포털 추천 책: 2019 모두의 오픈 데이터포럼 정부의 공개 정보 정부가 공개하고 있는 데이터 량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질도 향상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 경우는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1956호)』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데이터포털이라는 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우리는 데이터 수집할 때, 한국 정부 뿐만아니라, 자주 사용하는 다른 국가의 데이터 플랫폼을 알아야 합니다. 1.한국 공공데이터 포털 https://www.data.go.kr/ 2...

소프트웨어 리포팅 툴 TOP 7, 2020 놓쳐서는 안되다! 최종 업데이트:2020-8-25 소프트웨어 리포트 툴/리포팅 툴은 데이터를 그래프와 차트로 시각화하여 직관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보여주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훌륭한 리포팅 툴은 사용자가 정보를 편리하게 수집하고 비즈니스를 포괄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오늘은 2020년에 놓쳐서는 안될 7가지 리포팅 툴(Reporting Tool) 에 대해 소개하는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여기에는 상업용 툴뿐만 아니라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리포트 툴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 소프트웨어 리포팅 솔루션 들의 장점과 단점, 가격 등을 기준으로 어떤 목적의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할지 추천 할 예정입니다. 소프트웨어..
가끔 기획자분들을 만나보면 서비스기획에 관심이 많은분들을 보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서비스 기획자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기획자가 실제로 하는 일들은 무궁무진하지만 딱히 구분해보면 구축기획, 서비스기획, 마케팅기획, 전략기획으로 나눠지는데 그중 서비스기획자는 구축기획을 어느정도(2~3년) 하고 넘어가시길 권합니다. 첫 취업을 서비스기획으로 접근하다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플랫폼에 대한 이해없이 진행하다가 기획적인 한계에 부딧치는 사례를 많이 봐왔습니다. (여기서 느끼는 한계란 - 프론트단, 관리자단의 업무효율성을 위한 개선기획 또는 리뉴얼 기획등... 플랫폼 단의 대규모 개선이 있을때 눈뜬 장님이 되는 거죠) 자 그럼 서비스 기획자로 취업을 했다면 어떤 업무를 맡게 될까요? 모두....고객 또는 소..
기획자로서 많은 내용들을 정리하고 많은 문서들을 쓰지만, 그 중에서도 제일 많이 쓰는 문서가 스토리보드 일 거에요. 기획서라고 부르기도 하고 SB라고 줄여 부르기도 하고 화면 정의서라고 하기도 하는. 용어야 뭐 어떤 용어를 쓰든지 크게 상관은 없을 것 같고요, 그 기획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기획서의 역할은... 1. 계약서 같은. 아파트나 차 계약 할 때 얼만큼의 옵션을 얼마의 가격으로 하겠다는 합의의 내용이 들어 있잖아요. 그것처럼 이번 개발분량과 요건에 대한 최종 합의 내용을 기록하여 개발 시, 혹은 개발 이후 이게 왜, 어떻게 개발 되었는지알 수 있도록 합니다. 2. 설계도면 같은. 조립식 가구를 사면 어떻게 조립하는지 설명서가 나와 있잖아요. 그것처럼 실제 디자인-퍼블리싱-개..
업종이나 연차에 상관없이 대다수 회사에서 이런 경험들이 있으실 것 같은데요. 업무는 쏟아지고 내 몸은 하나고, 하고 있던 일이 다 끝나지도 않았는데 또 다른 이슈가 또또 밀려오는 혼돈의 카오스!! 특히나 기획자들은 본인의 업무 뿐 아니라 다른 파트의 업무 진행 상황이나 전체 프로젝트 이슈들도 같이 체크할 일이 많아서 더더욱 멀티 플레이에 대한 부담감이 있을 거라 짐작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업무의 우선순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한 사람이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하는 그런 눈부시고 아름다운 환경은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구축을 하면서 운영을 하기도 하고, 운영에 운영에 운영을 동시에 하기도 하고, 구축만 한다고 해도 문서작성과 이슈 체크와 일정 체크와 또 뭐와 또 뭐와 뭐와 같이 할 수..
오늘은 기획자라면 반드시! 꼭! 알아두면 좋은 최고의 툴인 파워목업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기획자는 스토리보드 작업을 많이 할텐데 파워목업은 기획작업에 필요한 소스들을 일일이 그리지 않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어 시간적인 효율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또한 파워목업은 라이브러리 창을 '파워포인트' 창에 통합하는 애드온(플러그인)으로 포함된 와이어 프레임 및 모형 모양에 쉽게 액세스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Shapes를 이용하여 아주 간단하게 웹, 스마트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션, 기본 윈도우 앱을 비롯한 여러 플랫폼의 UI를 디자인을 할 수 있고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모양을 만들어 넣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우선 파워목업 설치를 위해 사이트를 방문해 줍니다. http://www...
오늘은 벤치마킹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일하면서 보니까 벤치마킹 하는 경우가 보통 두가지 있는 것 같아요. 1번. 어떤 특정한 기능을 붙이려는데, 참고하려고 조사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사이트에 로그인 위치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꿀려고 각종 사이트들의 로그인 위치를 조사해서 참고하는 경우입니다. 2번. 특정 시장의 플레이어들을 조사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음악스트리밍서비스 시장을 조사하라는 미션 아래, 각종 음악앱 조사를 하는 경우입니다. 1번은 비교적 쉬운데, 2번은 조금 막막한 감이 있죠. 특히나 2번을 진행할 때 우리도 신규 플레이어로 들어갈려고 한다든지, 혹은 제휴처를 찾기 위함이라든지등 뭔가 목적을 주면서 시키면 그걸 염두하고 하면 되니 덜 막막한데 그냥 시장 조사 차원에서 벤치마킹 ..
기획자라면 다양한 문서들을 쓰게 되는데, 그 중에 하나가 기획안 일거에요. 제가 말하는 기획안은 스토리보드는 아니고요, 앞으로 이러저러하게 하겠다는 미래의 작업을 계획/정리한 문서 입니다. 예를 들면 구축기획안이나, 리뉴얼 기획안, 신규서비스 기획안등 말합니다. 여러 양식과 구성들이 있겠지만 제가 보통 쓰는 index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환경분석 (전체 시장 환경, 최근 트랜드) 2. 경쟁사 3. 자사 분석 (as-is) 4. 사용자 분석 5. 방향(TO-be)제시 ≒ 목표 6. 전략 ≒ 컨셉 7. 상세 서비스 안 ≒ 전술 8. 일정 9. 기대효과 10. 이슈사항 제가 쓴 10개의 항목이 꼭 지켜야만 하는 항목은 아닙니다. 순서를 달리 해서 쓰셔도 되고 불필요하다면 몇가지 항목은 삭제 해도 되고 더..